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1.12.28_중국경제 '3중 암초'에…내년 성장률 5%도 낙관 못해 [글로벌 이슈 plus]
    Read/News & Report 2021. 12. 28. 17:02

    0. 원문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POD&mid=sec&oid=009&aid=0004900031

     

    판 커진 ETF, 올 신규투자 1조달러 돌파

    작년 7300억弗보다 35% 증가 세계증시 활황에 지수상품 인기 美서만 올해 380개 새로 출시 총액 3년새 2배…향후 전망도 긍정적 올 한 해 세계 증시 활황으로 상장지수펀드(ETF)에 몰린 돈이 처음으

    news.naver.com

     

    1. 헤드라인

    32년만에 최악성장 경고음

     

    중국경제 3대 위협은

    ① 헝다위기로 지방정부 타격

    부동산발 경기침체 불보듯

    ② 고소득층 소비위축 길어지고

    ③ 1천만 실업자도 경제 발목

     

    세계銀 등 내년 성장전망 낮춰

    中 사회과학원 5.3% 제시

    일각선 성장률 4%대 예측까지

    내년 시진핑 3연임 앞둔 中

    경기부양 카드 총동원할듯

     

    2. 본문(수치화  인사이트)

     

     

    2022년이 눈앞으로 다가오면서 내년 세계 경제를 예측하는 발표가 쏟아지고 있다. 많은 리포트가 제시하는 내년 세계 경제의 최대 변수를 살펴보면 공교롭게도 미·중 갈등부터 부채 위기, 공급난까지 대다수가 중국과 연관돼 있다. 세계가 중국 경제를 주시하는 이유다.

     

    내년 중국 경제에 대한 전망은 장밋빛이 아니다. 2022년 경제성장률이 3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 될 것이라는 경고음이 쏟아지고 있다. 성장률이 3%대로 급락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중국 국무원 최고의 싱크탱크로 불리는 사회과학원은 내년 성장률을 5.3%로 전망했다. 6%를 밑도는 성장률은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2020년(2.2%)을 제외하면 1990년(3.8%) 이후 32년 만이다. 1990년은 톈안먼 사태로 혼란이 최고점에 달했던 시점이다.

     

    중국이 개혁·개방을 앞세워 고속성장을 구가할 당시 경제성장률은 두 자릿수에 달했다. 한 자릿수로 떨어진 것은 2011년이다. 이후에는 6~7% 선에서 지속적인 하향곡선을 그려왔다.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2020년 성장률은 2.2%로 급락했다. 이는 문화대혁명이 끝난 1978년 이후 4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2021년은 8% 안팎의 성장률이 예상된다. 코로나19 이후 V자 반등에 성공한 것이다. 하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웃을 수 없는 상황이다. 8%라는 숫자 자체가 기저효과 영향이 큰 데다 상반기에 비해 하반기로 갈수록 성장률 둔화가 가파르게 진행됐기 때문이다. 실제로 1분기 18.3%까지 올랐던 분기 경제성장률은 2분기 7.9%, 3분기 4.9%로 급격히 낮아졌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판 KDI인 사회과학원이 2022년 성장률을 5%대 초반으로 제시한 것이다. 사실상 6% 이상 고성장 시대의 종말을 예고한 셈이다.

     

    해외 시각도 크게 다르지 않다. 해외 신용평가사 피치는 5.2%, 세계은행은 5.1% 성장을 전망했다. JP모건체이스는 2022년 중국 경제성장률을 4.7%로 내다봤다. 일본 노무라증권은 4.3%를 제시했다. 중국에서조차 4.9%(중국 흥업증권) 전망치가 나왔다.

     

    경제학자들 의견도 비슷하다. 블룸버그가 조사한 경제학자 10명 가운데 7명은 중국 관료들이 2022년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5% 혹은 그 이상으로 설정할 것으로 예상했고, 나머지 3명은 그보다 약간 낮게 잡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처럼 많은 전문가가 중국 경제 6% 성장 시대 종언을 예고한 이유는 무엇일까. 가장 먼저 거론되는 요인은 이른바 '헝다발 위기'다. 그동안 누적돼 온 부채 폭탄이 터지면서 부동산 시장이 냉각되고 이는 결국 경제 침체로 이어질 것이라는 시나리오다.

     

    부채가 360조원에 달하는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그룹은 사실상 파산을 선언한 상태다. 빚이 천문학적 규모이기는 하지만 헝다그룹 파산 자체가 중국 경제를 대혼란에 빠뜨릴 수준은 아니다. 중국 정부도 질서 있는 퇴출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문제는 후폭풍이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로 인해 부동산 기업들의 도미노 파산이 이어지면서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30%에 달하는 부동산 시장이 완전히 얼어붙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지방정부 부채 문제로 연결된다.

     

    중국 지방정부들은 세입 대부분을 부동산 관련 매출에 의존하고 있다. 토지를 헐값에 수용한 뒤 부동산 개발업체에 팔아 돈을 조달한 것이다. 지방정부 세입에서 이 같은 토지 판매 재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최대 5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에서 부동산 시장 붕괴는 곧 지방정부의 재정 파탄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동안 누적돼 온 부채 문제가 앞으로 중국 경제의 발목을 잡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고용 불안도 중국 경제의 뇌관이다. 전문가들은 경제 성장이 둔화되면 1000만명이 넘는 대졸자와 농민공(농촌 출신 도시 이주 노동자)의 실업 문제가 악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통상 중국은 1200만~1300만명의 고용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5%대 GDP 성장이 필요하다고 본다. 렌핑 즈신투자 수석연구원은 "경제 하방 압력은 고용 문제로 연결된다"고 지적했다.

     

    좀처럼 개선되지 않는 소비도 중국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 중국 GDP에서 소비가 기여하는 비중은 60%에 육박한다. 올해 중국 경제 성장을 견인했던 수출이 내년에 상대적으로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내수가 회복되지 않으면 중국 경기 하강 기울기는 더욱 가팔라질 수밖에 없다.

     

    중국 정부도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 2022년 경제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중국 공산당이 제시한 화두는 '안정'이었다. 시진핑 국가주석의 장기 집권 문을 열 2022년 가을 20차 당대회를 앞두고 경제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경기 부양 의지도 밝혔다. 적극적 재정정책과 온건한 통화정책을 지속적으로 실시해 재정정책의 효율성을 높이고 시장의 유동성 수요를 합리적으로 충족시키겠다는 것이다. 높은 인플레이션에 시달리는 미국과 달리 중국은 상대적으로 통화정책 사용 여력이 있다.

     

    부동산 정책 변화도 예고됐다. 규제 일변도에서 벗어나 부동산 시장 연착륙을 위해 정부 지원책이 등장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베이징 소식통은 "중국 공산당이 내년 3월 양회에서 2022년 경제성장률 목표를 5% 수준으로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4%대로 추락하지 않게 하기 위해 정부가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카드를 꺼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베이징 = 손일선 특파원(isson@mk.co.kr)

     

    3. 요약 및 의견

    요약:

    대다수의 경제전문가 및 기관이 2022년 중국의 경제성장률을 하향 전망하고 있다. 미·중 갈등, 내수 부진, 고용 불안정, 부채 위기, 공급난 등 여러 악재가 잠재하고 있기 때문.

     

    의견:

    헝다와 유사한 부동산 개발업체 그룹 하나가 또 파산한다면 어떻게 될까. 지난주 중국 정부가 갑작스럽게 기준금리를 인하한 것도 GDP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기업부채와 기형적으로 부동산 개발업체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지방정부의 위험부담 등을 우려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중국은 G2다. 특히나 글로벌 경제의 공급자를 자처하고 있는 G2 국가에 위기가 발생한다면 한국 경제는 물론, 세계 경제가 또 다시 휘청이지 않을까.

     

    4. 추가조사 내용 및 적용할 점

    추가조사 내용

    중국 - GDP 연간 성장률

     

    결론 및 적용할 점:

    비교적 낮은 인플레이션 기조를 달리고 있는 중국으로선 적극적이고 확장적인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을 사용할 여력이 있다. 하지만 시중으로 풀린 자금이 지금처럼 경제 활성화에 사용되지 않고(부동산 시장 키우기 등에 집중), 공급난 해소나 고용 불안정을 잡지 못한다면, 점차 가중되고 있는 미중 무역전쟁의 늪과 맞물려 경제 성장의 활로를 완전히 잃어버릴지도 모른다.

    중국 정부가 지금의 기조보다 훨씬 완화적인 정책을 펼치지 않는 이상 중국 증시에 대한 투자는 미룬다. 반대로 부채와 부동산 위기가 불거질 때마다 Shibor 금리 체크를 통해 이상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주식시장에 대한 Short 포지션을 취한다. 투자 타이밍은 Shibor 수익률 전반이 비정상적인 곡선을 보일 때 즉, 단기금리가 장기금리(20년물이상)보다 높은 수준일 때로 한다. 

     

    5. 연관기사 링크

    "中주가 최대 40% 상승, 비중 늘려라" vs "규제 위험 여전, 아직 저점 아냐" [글로벌 이슈 plus]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POD&mid=sec&oid=009&aid=0004900030

     

    "中주가 최대 40% 상승, 비중 늘려라" vs "규제 위험 여전, 아직 저점 아냐" [글로벌 이슈 plus]

    월가 내년 中증시 전망 엇갈려 2021년 중국 증시 성적표는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초라하다.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올해 68번이나 최고치를 경신하며 26% 상승했다. 나스닥 지

    news.naver.com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