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11.14_유동자산 1조인데 빚이 66조…FTX 붕괴에 코인업계 '패닉'Read/News & Report 2022. 11. 14. 19:26
1. 원문 및 헤드라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774060
유동자산 1조인데 빚이 66조…FTX 붕괴에 코인업계 '패닉'
부실한 재무구조가 드러나며 유동성 위기에 빠졌던 글로벌 암호화폐거래소 FTX가 끝내 파산을 신청했다. 총부채만 많게는 500억달러(약 66조원)에 이르는 업계 사상 최대 규모의 파산이다. 금융권
n.news.naver.com
암호화폐 업계의 '엔론 사태'
재무구조 부실 의혹 열흘도 안돼
올들어 미국서 가장 큰 규모 파산
암호화폐 시총, 5일간 192조 증발
다른 거래소도 '준비금 조작' 의혹'
코인계 워런 버핏' 뱅크먼프리드
고객 예치금 유용·부당거래 의혹
파산 후 6.6억弗 코인 도난 신고도
2. 본문(수치화 및 오피니언)
사진: REUTERS 부실한 재무구조가 드러나며 유동성 위기에 빠졌던 글로벌 암호화폐거래소 FTX가 끝내 파산을 신청했다. 총부채만 많게는 500억달러(약 66조원)에 이르는 업계 사상 최대 규모의 파산이다. 금융권 안팎에선 FTX 붕괴를 2001년 희대의 회계 부정으로 파산한 미국 에너지 기업 엔론 사태에 빗대며 후폭풍을 우려하고 있다. 후오비 크립토닷컴 게이트아이오 등 일부 거래소는 서로 부족 자금을 빌려주며 ‘돌려막기’를 하고 있다는 의혹도 나왔다.
부채 500억달러, 자산은 9억달러
FTX는 지난 11일 “미국 델라웨어주 법원에 파산법 11조(챕터11)에 따른 파산보호를 신청했다”고 발표했다. 미국 파산법 11조는 파산법원의 감독하에 구조조정 절차를 진행하는 제도다. 한국의 법정관리와 비슷하다. FTX는 2일 재무구조 부실 의혹이 처음 불거진 이후 사업 매각, 추가 자금 조달 등을 시도했지만 모두 실패하고 열흘도 안 돼 결국 파산 절차에 들어갔다.
파산보호를 신청한 것은 FTX 그룹 소속 기업 134곳이다. 본사 격인 FTX와 미국 법인인 FTX US는 물론 FTX 재무 부실의 핵심에 있는 헤지펀드 알라메다리서치가 모두 포함됐다.
FTX는 총부채가 최소 100억달러에서 최대 500억달러에 이르며 채권자는 10만 명이 넘는다고 신고했다. 보유 자산은 부채와 같은 규모라고 했다. 하지만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파산 신청 직전 FTX의 유동자산은 9억달러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투자자 거액 손실 가능성
세계 FTX 이용자는 120만 명(작년 기준)에 이른다. FTX의 출금 중단 이후 묶인 이용자 예치 자산도 6억9543만달러(10일 기준)에 달했다. 가격이 급락하기 이전의 가치를 따지면 실제 규모는 훨씬 클 것으로 추정된다. 암호화폐는 제도적 보호장치가 없기 때문에 FTX가 파산하면 투자자는 이 돈을 돌려받을 가능성이 매우 낮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FTX는 파산 신청 직후 6억6200만달러 규모 자산이 “비정상적으로 유출됐다”고 밝혔다. 업계 안팎에선 “해킹을 가장해 FTX가 자금을 빼돌린 것 아니냐”는 의혹이 번지고 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FTX의 샘 뱅크먼프리드 창업자와 경영진은 이미 100억달러 상당의 이용자 자금을 빼돌려 알라메다에 지원한 전적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FTX 파산은 전체 금융시장에도 파장을 미칠 전망이다. 블랙록 소프트뱅크 등 FTX에 총 14억달러가량 투자한 기관들도 대부분 손실을 볼 것으로 예상된다. 뱅크먼프리드가 지분을 보유한 로빈후드와 비트코인 투자 비중이 높은 마이크로스트래티지, 코인 투자사 갤럭시디지털 등 상장사들은 1주일 새 주가가 급락하며 시총이 50억달러 가까이 증발했다.다른 거래소는 믿을 수 있나
대형 거래소들은 “우린 안전하다”며 준비금 증명에 나섰지만 불신은 커졌다. 한때 중국 최대 거래소였던 후오비와 게이트아이오, 크립토닷컴 등은 서로 부족 자금을 빌려주며 ‘돌려막기’를 하고 있다는 의혹이 나왔다. 세계 최대 거래소 바이낸스의 자오창펑 최고경영자(CEO)는 “명확한 문제의 징후”라며 “멀리 하라”고 경고했다.
국내 원화 거래소들은 분기 또는 반기마다 회계법인을 통해 외부 감사를 받고 그 내용을 웹사이트에 공개하고 있다. 양대 거래소인 업비트는 투자자 예치금 대비 보유 자산의 현금 가치 비율이 102%(10월 기준), 빗썸은 119%(6월 기준)라고 밝혔다. 지급 불능 위험은 없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해외 거래소들과 달리 거래소의 지갑 주소를 공개하지 않고, 공시 내용도 세부 내역이 공개되지 않아 이용자의 불안을 덜기엔 역부족이란 지적도 나온다.
3. 요약 및 의견
요약
지난 12일 부실한 재무구조가 드러나며 유동성 위기에 빠졌던 글로벌 암호화폐거래소 FTX가 끝내 파산을 신청했다. 총부채만 많게는 500억달러(약 66조원)에 이르는 업계 사상 최대 규모의 파산이다. 이번 FTX 파산은 전체 금융시장은 물론, 국내외 코인커래소들의 유동성에 관한 신뢰 문제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한다.
의견
FTX는 비트코인 현물 거래로는 2위, 종합 거래는 4위에 랭크된 세계적인 암호화폐 거래소다.
그런 대형 거래소가 그들과 관계하고 있는 어느 한 리서치 기업(알라메다)에 대해 쏘아올린 작은 공 하나에 유동성 위기(뱅크런)에 도달했고 결국 파산했다(FTX의 관계사 알리메다가 FTT를 담보로 레버리지를 무리하게 일으킨 것이 결국 유동성 불안을 일으킨 원인으로 꼽힌다)
전세계를 잇는 금융시장은 신뢰를 기반으로 한다. 가상화폐 생태계도 예외가 아니다. 이번 사태로 가상화폐 시장의 변동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이며, 기타 코인들의 가치에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위와 같은 사태가 연쇄적으로 발생한다면 스테이블 코인과 같은 가상화폐 시장의 축이 붕괴하는 상황으로 확대되지 않을까 우려스럽다.
4. 추가조사 내용 및 적용할 점
FTX 사태 정리(일자별)
https://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82076
뱅크런은 어떻게 시작됐나…FTX 사태 주요 일지 - 코인데스크 코리아
글로벌 암호화폐(가상자산) 거래소 FTX와 알라메다 리서치의 유동성 위기로 촉발된 ‘FTX 사태’의 여진이 계속되고 있다. 라이벌 거래소 바이낸스가 FTX 인수를 추진한다는 소식에도 시장은 안정
www.coindeskkorea.com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2111309128018621
날짜별로 정리해 본 FTX 파산 사태 전말 - 머니S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세계적 암호화폐(가상화폐) 거래소인 FTX의 파산 사태 후폭풍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있다. 국내에도 FTX에 투자한 투자자들이 있어 국내 충격도 불가피할 전망이
moneys.mt.co.kr
5. 연관기사 링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044468
코인판 유동성위기 확산 세계 9위 '크립토' 휘청
자체코인 장중 20% 폭락 채권자 10만명 FTX 파산 국내 유사사업 투자자 우려 FTX 사태로 불거진 전 세계 가상화폐 유동성 위기가 또 다른 코인 거래소들로 확산되면서 코인발 충격이 커질 조짐이다.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044448
파산신청 직후 동시다발 해킹 … FTX 계좌서 8700억원 증발
FTX 파산 후폭풍 파산 보호를 신청한 세계 4위 가상화폐 거래소인 FTX에서 총 6억6200만달러(약 8700억원)에 달하는 코인이 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FTX 측은 이에 대해 인터넷에 연결돼 있는 가상화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044449
코인 담보대출 받아 몸집 불리기 'FTX 사업 모델' 한국에도 있다
국내 코인 산업은 괜찮나 FTX사태가 한국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건 FTX의 자기발행 코인을 통한 사업 부풀리기가 그동안 코인업계의 관행처럼 진행됐기 때문이다. FTX 파산신청 직후인 지난 12일 미
n.news.naver.com
'Read > News & Repo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11.17_"지금이 바닥"…美 채권 ETF에 뭉칫돈 (0) 2022.11.17 22.11.16_"긴축 속도조절" G20 위기돌파 공조 (0) 2022.11.16 22.11.09_원화값 50일만에 최고 … 1300원 후반대 안착 (1) 2022.11.09 22.11.07_"외환위기 피하려다 더 한 상황이…" 경제전문가들 '경고' (0) 2022.11.07 22.01.21_자본 50억 투자사가 7조 '뻥튀기 베팅'…경을 친 LG엔솔 청약 (0) 2022.01.21